리그오브레전드리그오브레전드

온라인 1,334

[공홈]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 더 밝은 미래의 기반 마련

조회수 840댓글 4추천 1

2025년 변동 사항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음: 


1. 3스플릿 + 3국제전 전체 도입

2025년부터는 3스플릿 + 3국제전 체제로 진행 스플릿 1 -> 신규 국제전 -> 스플릿 2 -> MSI -> 스플릿 3 -> 지역별 챔피언십 -> 월드 챔피언십 방식으로 진행


2. 지역 리그 개편

LCK. LPL, LEC는 기존 팀 들 유지 (방식은 아직 미정, 유지 될수도 있고 변경 될수도 있음) LCS, LLA, CBLOL은 Americas로 통합 PCS, VCS, LJL, LCO 역시 APAC로 통합 총 5대 리그 방식으로 운영 (통합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는 아래에 후술)


3. 국제전 진행 방식

신규 국제전 각 지역 리그 스플릿 1 우승 팀들이 진출 6일동안 진행 우선 라운드 로빈 라운드 진행 이후 상위 4팀이 플레이오프 진출


MSI 각 지역 리그 스플릿 2 성적에 따라 2팀이 진출 시드 관련은 신규 국제전 성적에 따라 결정 진행 방식은 아직 미정


월드 챔피언십 MSI 성적이 좋은 2 리그는 4팀 진출 나머지 3 리그는 3팀 진출 MSI 우승 팀은 자동 진출


15팀은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 남은 2팀은 플레이-인 BO5 경기로 승리 팀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 스위스 스테이지 부터는 기존 방식과 동일


4. Americas 개편 발로란트 리그와 비슷한 방식으로 운영 Tier 1은 북부 컨퍼런스와 남부 컨퍼런스로 나누어서 진행 북부 컨퍼런스: LCS (북미) 6팀 + LLA (중남미) 1팀 + 비프렌차이즈 1팀 남부 컨퍼런스: CBLOL (브라질) 6팀 + LLA (중남미) 1팀 + 비프렌차이즈 1팀


국제전 진출권은 다음과 같음: 신규 국제전: 스플릿 1에서 각 컨퍼런스끼지 경기를 치르고, 각 컨퍼런스에서 성적이 좋은 팀들이 크로스-컨퍼런스 스테이지에 진출해 우승 팀이 진출 MSI: 스플릿 2에서 각 컨퍼런스 우승 팀이 진출 (북부 1팀, 남부 1팀) 월드 챔피언십: 스플릿 3 이후 지역 결산 대회에서 상위 3팀(MSI에서 추가 시드권 가져오면 4팀)이 진출, 단 각 컨퍼런스 당 최소 1팀 진출 보장


Tier 2 방식은 아직 미정 1년 시즌 종료 후 Tier 2에서 각 컨퍼런스 당 가장 성적이 좋은 팀은 Tier 1 비프렌차이즈 팀과 승강전 진행


5. APAC 개편 PCS (대만동남아), VCS (베트남), LJL (일본), LCO (오세아니아) 통합 운영 승강제 도입 1부리그: 8팀이 참가, 2025년 참가 팀은 2024 PCS 서머 플레이오프 & VCS 서머 플레이오프 성적에 따라 결정 2부리그: 지역 별로 운영 (정확히 어떻게 나누어서 운영하는지는 미정)


매년 말마다 승강제 진행


자세한 방식은 추후 공개 예정


6.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2025년부터 각 최상위 리그들은 피어리스 드래프트 방식 도입 각 매치 당 이전 세트들에서 사용한 챔피언들은 같은 매치 동안 사용 불가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으나, BO5의 경우 5세트에서는 예외로 모든 챔피언 사용 가능 (현재 LCK CL (LCK 2군)이 이 방식 사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