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rowser you are currently connected to is out of date and some features are unavailable.
Use the latest, fast and secure version of the browser!
대한민국 국방부가 화력에 미치면 생기는 일 (2)

6.25 전쟁 당시 미군이 일본에서 배로 끌고온 전차를 본 한국 정부는 이후 곧바로 미국 정부와 협상을 시작한다.

image

대한민국)줘.
미국)안됨. 우리가 이 전차 줘도 니네가 잘 다룰 수 있다는 보장도 없잖아. 우리가 준 장갑차 가지고도 밀렸으면서 뭘 주라는거야.

image

대한민국)그 장갑차로 저걸 상대하라고?
미국)... 미안

그렇게 미국과의 협상이 통해서 간단한 전차 교육 후 M4 셔먼은 원조물품으로써 대한민국 육군에 편입되었고, 북한군한테서 노획한 SU-76M, 원조받은 M36 잭슨 이 두 자주포와 함께 한국군의 첫번째 정식 제식 전차로써 화력을 담당하기 시작한다. (간단한 포병 훈련만으로 T-34를 순식간에 제압한 것을 본 미군이 경악했다는 기록 또한 존재한다.)



image

한편 미국이 10대만 달랑 넘겨주고 군정 철수할 때 관리하는 방법만 알려줘서 손 덜덜 떨면서 만지고 있던 P-51 머스탱도 전쟁 발발 후 다리 폭파를 비롯하여 각종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활약하는 모습을 보게된 미국은 부랴부랴 퇴역해서 창고에서 쉬고 있는 노인들을 다시 개목줄 끌고 한국으로 보내서 사용한 뒤 상당수를 대한민국 공군에게 넘겨주게 된다.

이후에도 1951년에 실전투입된 M46, M47, M48 패튼, M26 퍼싱도 눈독 들인 한국은 휴전 직후 미군으로부터 이 전차들도 뜯어내서 운용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이후 계속 미군의 장비들로 전선을 채워나가기 시작하고, 이후 탄약 공장을 지어서 정식으로 포탄도 생산하던 한국은 가끔씩은 이스라엘의 티란 전차와 T-72M을 받아 전차를 뜯어보기도 하고, 미국한테서 장비를 사오면서 한동안은 미국의 장비에 의존하는 듯 보였다.

image

하지만 그런 겉모습과 달리 한국은 월남전 이후 닉슨 독트린을 발표하며 주한미군도 잠시 철수시켜버린 것도 모자라 M-60 라이센스 생산을 거부하는 미국의 모습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었고, 대한민국 국방부와 정부는 M48 패튼을 개조하는 것으로 노인학대를 함과 동시에 F-4, F-5의 추가도입을 해서 안보상 공백을 해결하면서 자체적으로 전차를 생산하기 위한 계획을 착수하게 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