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오브레전드리그오브레전드

온라인 632

그냥 갑자기 궁금해진건데

조회수 148댓글 1추천 -3

1. 여성의 정치 참여권을 위한 1세대 페미니즘 물결이 19세기부터 시작되었는데 이 점을 보아 사회가 여성의 권리에 관심을 가지게 된 지 200년가량밖에 되지 않았음

2. 남녀갈등의 주요 지표로 사용되는 성별 간 임금 격차의 해석을 여성 이익단체에선 여성 차별로 인한 결과물로 해석하고 남성 이익단체에선 여성의 능력과 의지 부족으로 해석

만약 성별 간 임금 격차라는 지표가 개인의 의식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가지 못해서 생긴 일종의 문화 지체 현상이라고 가정했을때 여성 이익단체에선 여성의 대한 인식이 사회 흐름에 따라가지 못한다고 해석하고 있고 남성 이익단체에선 여성의 의식과 능력이 사회 흐름에 따라가지 못한다고 해석하는 건데


만약 전자가 더 합리적으로 남녀갈등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고 할 때 남성과 여성의 격차에 결과적 평등을 추구하는 정책이 시행된다면

1. 양성평등 정책의 수혜를 받고 세대교체가 이루어진다면 정책을 폐기했을 때 > 성별 간 임금 격차에 변화가 있나? 2. 정책 시행 후 결과가 입증되고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가 지속된다고 가정했을 때 > 현재 (대체로 맞벌이를 하지만 남성의 담당 비중이 높음) 의 체계보다 남녀가 동일한 의무와 권리를 지도록 변화된 체계가 더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가? 3. 정책의 긍정적 효과가 입증되었을 때 > 정책 시행 시 발생하는 손익은 얼마나 되며, 무형의 효과에 대해 어떻게 입증할 수 있는가? 4. 정책이 시행되었을 때 불이익을 보게 될 집단의 처분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만약 후자가 더 합리적으로 남녀갈등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고 할 때 양성평등 정책에 대해 현재 기조를 유지하거나 여성 혜택에 대한 감축이 이루어진다면

1. 여성 이익단체의 구성원이 사회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는 의식과 능력으로 주류 세대로 자리잡게 된다면 그들에 대한 처분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2. 남녀 갈등의 환경적 원인이 무엇이며, 정부는 이걸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