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오브레전드리그오브레전드

온라인 614

문명6 신규유저를 위한 기본공략 - 1. 게임 설정

조회수 43,740댓글 11추천 21

12.png

안녕? 난 문명6에 막 입문하려는 뉴비들을 위해 글을 쓰려고 하는 사람이야. 롤 커뮤니티에 이런글 올리는게 맞나 싶기도 하지만 문명6을 깔긴 했는데 어떻게 할지 모르겠는 사람들을 보고 이 글을 쓰기로 결심했어. 만약 문제가 된다면 글삭할게 :)

나도 문명6을 막 오래 하지도 않아서 여기저기 틀리고 맞지 않는 부분도 있을거야. 그런 부분 댓글에 지적해주거나 혹은 그냥 궁금한 거 물어보기만 해도 최대한 대답해줄게. 그리고 pc에서 작성한 글이기 때문에 모바일에서는 불편한 부분도 있을거야.

오늘은 게임 설정에 대해서 글을 쓸거야. 2편도 만들지는 반응 보고 결정할게.


문명 6을 켜보자

20200524181038_1.jpg 문명 6을 키면 먼저 간지쩌는 시네마틱이 나오고 메인 화면이 뜰거야. 여기서 우리는 싱글 플레이-새 게임 생성으로 들어가자. 여기서 바로 시작은 절대 누르면 안돼. 모든 설정이 랜덤으로 결정되서 문명6을 배우기엔 꽝이거든 :)

1.PNG 이런 창이 보일거야. 룰 셋 선택은 무료로 구매한 사람들한테는 열리지 않을거고, (확장팩을 구매해야 사용 가능) 문명 선택부터 해보자. 무작위 지도자를 누르면 플레이 가능한 문명들이 쫙 보일거야.

문명 선택

2.PNG 이중에서 내가 초보자들에게 추천하는 문명은 3가지야. 첫번째는 로마. 내가 이걸 추천하는 이유는 고유 능력으로 인해 자체적으로 높은 문화를 땡겨올 수 있고, 공짜 교역로에 고전시대 특수유닛, 고유 특수지구까지 안좋은게 없는 무난 of 무난 문명이지. (여기서 내가 말하는 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알게 될 내용이니 '아 이런 게 있구나' 하면 돼.)

3.PNG 두 번째는 독일. 특수 유닛은 별로지만 지도자, 국가 고유 능력을 통해 정복 능력이 기본적으로 강하고, 무엇보다 개사기 특수지구 '한자'의 존재로 미친듯이 유닛을 뽑아낼 수 있지.

4.PNG 세 번째는 일본이야. 굳이 일본을 플레이하고 싶지는 않을 것 같은데, 일본은 문명6에서도 가장 쉽고 강한 문명 중 하나야. 국가 고유 효과로 인해 특수지구 보너스를 엄청 땡길 수 있고, '전자 공장'도 상당히 좋은 특수지구지.

물론 아무 문명이나 플레이해도 괜찮아. 게임은 결과적으로 재밌으려고 하는거니까. 하지만 내가 말한 3가지 문명 중 하나를 하면 더 쉽게 문명에 적응할 수 있을 거라고 믿어.

그 외 설정들

5.PNG 문명을 선택했으면 나머지 설정들도 골라야겠지? 순서대로 해보자.

6.PNG '난이도'는 말 그대로 게임의 인공지능이 얼마나 유리한 위치에서 시작할 것인지, 즉 플레이어가 얼마나 높은 난이도의 게임을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거야. '개척자'로 갈수록 난이도가 쉽고, '신'으로 갈수록 난이도가 어려워지지. 처음 하는 사람들은 '족장'~'왕자' 사이의 난이도를 선택하는 걸 추천해. 왕자는 인공지능과 똑같은 위치에서 게임을 시작할 수 있거든.

7.PNG '게임 속도'는 너희가 플레이할 게임이 얼마나 빠른 템포로 진행될 것인지를 선택하는 거야. '온라인'부터 '마라톤' 순으로 갈 수록 느려지지. 예를 들어 '보통' 속도에서는 유닛을 생산하는데 3턴이 소요된다면, '마라톤' 속도에서는 12턴이 걸리는 식이지. 서사시부터는 너무 느리고, 온라인은 너무 빠르기 때문에 '빠름~보통'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해.

9.PNG 그 다음 '지도 종류 선택'을 누르면 이런 창이 뜰거야. 나는 이 맵 중에서 '판게아'를 추천해. 왜냐하면 판게아가 진로를 방해하는 바다 없이 기본기를 배우기에 가장 좋거든.

20200524181803_1.jpg 모든 설정을 끝내고 게임 시작을 누르면 이렇게 간지 쩌는 브금, 내래에션, 로딩 화면이 보일거야. 이때 너희가 할 문명의 특성이 나오기 때문에 다시한번 확인하는게 좋아.

인게임 설정

20200524182023_1.jpg이게 인게임에서 보게 될 화면이야. 게임을 진행하기 전에 인게임 설정부터 하는 게 좋아. 문명6이 진입장벽이 높아진 이유가 인게임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잘 몰라서이기도 하거든.

10.PNG  먼저 왼쪽 하단의 메뉴 중 2번째 '지도 설정'을 눌러보자. 대부분 '생산량 아이콘 보기'버튼이 꺼져 있을거야. 이걸 반드시 켜야 해. 이걸 키지 않으면 각 타일에서 나오는 산출량을 확인할 수가 없거든. 산출량에 대해서도 나중에 얘기하도록 할게.

20200524182243_1.jpg 그리고 esc를 눌러 '메뉴'를 불러오자. 그리고 메뉴 중 '옵션'을 클릭해.

20200524182340_1.jpg여기에서 우리가 설정할 것은 '빠른 전투', '빠른 이동', '보좌관'이야. 개인적으로는 '빠른 전투-활성화, 빠른 이동-활성화, 보좌관-비활성화'를 추천해. '빠른 이동-빠른 전투'는 말 그대로 느릿느릿한 이동과 전투 속도를 엄청 빠르게 만들어주는 옵션이야. 물론 비활성화해도 나름대로 재밌지만, 나중에 가면 이거때문에 게임시간이 엄청 길어질 수도 있으니 활성화하는것을 추천해. '보좌관'은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이긴 한데, 이상한 곳에 건물을 지으라는둥, 이상한 위치에 도시를 펴라는 둥 충신보단 간신에 가까우니 비활성 추천.

20200524182407_1.jpg 설정을 끝냈으면 '인터페이스'로 넘어가보자. 여기서 해야할 것은 '자동 유닛 순환', 'HUD 리본에 생산량 표시'야. 이것들은 무조건 켜주는게 좋아. '자동 유닛 순환'은 유닛 선택 순서를 꼬이지 않게 해주고, 'HUD 리본에 생산량 표시'는 상대와 자신의 자원,군사력 등 여러가지 정보를 바로 알 수 있게 해주므로 '항상 표시'로 해두는게 좋아.

11.PNG

이건 생산량 표시를 하지 않았을 때의 아이콘이야. '항상 표시'를 하면 지도자 아이콘 아래에 국가의 현재 정보가 뚜루룩 보여.


오늘은 여기까지 써볼게. 다음 편은 아무래도 초반 공략이 될 듯 한데, 언제 쓸지는 잘 모르겠다. 그럼 ㅂㅂ

댓글